청년미래적금이 2026년 새로 시행될 예정
2023년 윤석열 정부에서 도입된 청년도약계좌가 올해 말 폐지되고,
내년부터 이재명 정부의 청년미래적금으로 대체됩니다. 그러나 최근
청년도약계좌의 높은 중도해지율은 새 정책에도 경고등을 켜고 있습니다.
고용 불안과 생활비 상승으로 저축을 끝까지 유지하기 어려운 청년층을
어떻게 붙잡을지가 핵심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왜 실패했나
출범 당시 최대 연 9.54% 금리 효과로 주목받았지만, 까다로운 가입 요건과
5년 만기 부담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가입자는 목표치에 미달했고,
2024년 말 기준 중도해지율은 14.7%, 올해 4월에는 15.3%까지 올랐습니다.
해지 사유 1위는 ‘소득 불안’
서민금융진흥원의 조사에 따르면 중도 해지 사유 1위는 실업·소득 감소(39%),
2위는 긴급 자금 필요(33.3%)였습니다. 생활비 상승이 가장 큰 재무 어려움으로
꼽힌 비율도 49.9%에 달했습니다.
제도적 보완 시도
서금원(서민금융진흥원)은 이탈 방지를 위해 2년 이상 유지 시 부분 인출(최대 납입액 40%)과
신용점수 가점 부여 정책을 시행했지만, 실질 효과는 제한적이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미래적금 비교
항목 | 청년도약계좌 | 청년미래적금(검토안) |
가입 기간 | 5년 | 1~3년 |
지원 방식 | 월 납입분에 정부 기여금 지급 | 납입액의 25% 정부 매칭 |
추가 혜택 | 비과세, 고금리 효과 | 중소기업 재직자 인센티브 검토 |
청년미래적금의 기대 포인트
1~3년 단기 적금 구조로 진입 장벽을 낮추고, 소득 조건 완화와 정부 매칭 지원으로
유연성을 높입니다. 중소기업 장기 재직자에게는 추가 혜택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반복될 수 있는 문제
전문가들은 소득 안정성 없는 지원 정책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실업과 소득 감소 상황에서 적금 납입을 지속하기 어렵기 때문에,
새 정책이 성공하려면 근본적인 소득 기반 강화가 필요합니다.
재정 운용 문제도 과제
청년도약계좌는 목표 가입자 미달로 기여금 예산이 대규모 이월됐습니다.
청년미래적금도 동일한 함정을 피하려면 가입률 제고와 예산 집행 효율화가
필수적입니다.
정책 성공을 위한 조건
청년미래적금이 흥행하려면 고용 안정, 생활비 부담 완화, 긴급 자금 유연성 확보
등 3박자가 맞아야 합니다. 단순히 높은 이율과 매칭 지원만으로는
청년들의 장기 참여를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요즘잇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모 파베르, (+3줄 요약) 도구로 세상을 만들고 스스로를 빚는 존재 (4) | 2025.08.11 |
---|---|
‘접시 다이어트’, 칼로리 계산 없이 하는 (5) | 2025.08.11 |
스탠딩 바, MZ세대가 빠져드는 새로운 술자리 문화의 비밀 (7) | 2025.08.11 |
미스트롯4, 언제하나요?(+참가자 모집중) (4) | 2025.08.09 |
검수완박 뜻(+3줄 요약) (5) | 2025.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