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하지만 다릅니다: 어휘력과 문해력,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요?
최근 교육정책과 입시환경에서 ‘어휘력’과 ‘문해력’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초등학생부터 대학 수험생까지, 국어 실력의 핵심 요소로 이 두 가지가 자주 언급되는데요. 단어를 얼마나 많이 아는지와 문장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는 서로 다른 능력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교육 전문가들과 국립국어원 자료를 바탕으로 두 용어의 의미와 차이점, 그리고 현실적인 영향까지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
어휘력이란? 단어를 알고, 써먹는 능력
어휘력은 ‘단어(어휘)’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낱말의 뜻을 알고, 문맥에 맞게 정확히 사용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국립국어원은 어휘력을 “어휘의 뜻, 용례, 유의어·반의어 관계 등을 인식하고, 일상 언어생활이나 학습 과정에서 적절하게 활용하는 능력”으로 정의합니다.
요소 | 설명 |
어휘 이해 | 단어의 정의와 의미 파악 |
어휘 활용 | 문장에서 정확히 사용하는 능력 |
어휘량 | 알고 있는 단어의 수 (수동어휘 vs 능동어휘) |
예: ‘정책’이라는 단어를 듣고 그 뜻을 알고 문장 속에서 쓸 수 있는가?
문해력이란? 글을 읽고 이해하고 판단하는 능력
문해력은 글(문장, 문단)을 읽고 내용을 이해하며, 핵심을 파악하고 자신의 의견까지 연결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2023년 OECD(국제학업성취도평가, PISA)의 정의에 따르면, 문해력은 "글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그 정보를 활용해 목적을 달성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읽기 능력을 넘어서 비판적 사고력, 분석력, 문제 해결력까지 포함하는 복합적 사고 능력으로 평가됩니다.
요소 | 설명 |
이해 | 문장의 의미와 글의 흐름 파악 |
분석 | 주장, 근거, 관점 구분 |
활용 | 글의 정보로 문제 해결 또는 의사 결정 수행 |
예: ‘기후변화 기사’를 읽고 원인과 해결책을 이해한 후, 자신의 생활과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는가?
어휘력과 문해력,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항목 어휘력 문해력
항목 | 어휘력 | 문해력 |
초점 | 단어(낱말)의 의미 이해와 활용 | 글(문장, 문단)의 의미 이해와 분석 |
구성 요소 | 단어의 뜻, 유의어, 쓰임 등 | 독해, 비판적 사고, 추론, 문제 해결 |
학습 방법 | 어휘장, 유의어/반의어 학습 | 지문 독해, 요약 훈련, 질문과 답하기 |
관계성 | 문해력의 바탕이 되는 기본 요소 | 어휘력 없이 향상되기 어려움 |
즉, 어휘력은 문해력의 기초이며, 문해력은 어휘력보다 넓고 복합적인 능력입니다.
최근 한국 학생들의 문해력 상황은?
2023년 발표된 PISA(국제학업성취도평가) 결과에 따르면, 한국 학생들의 문해력은 2009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학생들이 단어는 아는데 문맥에서 의미를 파악하거나 요점을 정리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이는 “어휘력은 높지만 문해력은 부족한” 이중 구조를 드러냅니다.
어휘력과 문해력,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 어휘력 향상 방법
– 독서 전 단어 정리
– 유의어·반의어 학습
– 일상 속 어휘 활용 훈련 - 문해력 향상 방법
– 다양한 지문 독해
– 글의 주제, 주장, 근거 찾기
– 요약과 비판적 질문 훈련
특히 초등~중학생 시기에는 어휘력을 먼저 튼튼히 다지고, 문해력으로 확장하는 방향이 효과적입니다.
어휘력은 기초, 문해력은 종합 사고력입니다
어휘력은 ‘단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고, 문해력은 그 단어들이 구성하는 ‘문장과 글’을 해석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능력입니다.
두 능력은 상호보완적이지만, 문해력은 어휘력을 토대로 한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이라는 점에서 보다 넓은 범주를 가집니다.
따라서 어휘 학습만으로는 부족하고, 다양한 글을 읽고, 생각하고, 쓰는 연습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지금의 국어 실력은, 미래의 학습 능력과 직결됩니다.
'요즘잇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라넷 복용법 (0) | 2025.07.30 |
---|---|
케라넷, 탈모 걱정 끝? (0) | 2025.07.30 |
ISA, IRP 차이 (1) | 2025.07.30 |
잘파세대 뜻(+ 특징, 나이) (3) | 2025.07.29 |
스토킹 처벌법 (1) | 202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