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전자치료제개발1 세계최초 망막질환 치료법개발, 시력 회복의 기적 세계최초 망막질환 치료법 개발을 카이스트(KAIST) 김진우 교수 연구팀이 성공했습니다. 이 연구는 기존 치료법으로는 불가능했던 망막 신경 재생을 가능하게 해 퇴행성 망막질환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치료 대안을 제시할 전망입니다.KAIST 연구진, 프록스원 단백질 차단으로 신경 재생 유도 성공 생쥐 실험을 통해 6개월 이상 효과가 유지된 만큼, 향후 임상시험과 치료제 상용화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습니다. 인간에게 불가능했던 망막 재생, 어류에게서 힌트를 얻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는 망막이 손상되면 자연적인 재생이 어렵습니다.반면, 어류는 뮬러글리아(Müller glia) 세포가 손상 시 신경전구세포로 변해새로운 신경세포를 생성합니다.김 교수팀은 바로 이 생물학적 차이에 주목했습니다. 프록스원 단백질, .. 2025. 6. 20. 이전 1 다음 반응형